스프링/개인포트폴리오

6. MobaXterm(Windows) (2) AWS EC2 환경설정

Initsave 2024. 5. 29. 10:03

EC2 서버에서 필요한 환경 설정은 어떤 것이 있을까?

  • JAVA
  • Tomcat
  • Maven
  1. JAVA 설정
    yum(Yellowdog Updater, Modified, Linux 배포판에서 패키지 관리 도구) 사용해서 설치

>> yum search 이용해서java에 grep amazon 찾기
$ yum search java | grep amazon

java-11-amazon-corretto-devel.x86_64 << 설치할 버전

$ yum install java-11-amazon-corretto-devel.x86_64 << 관리자 등급이 아니라 
$ sudo yum install java-11-amazon-corretto-devel.x86_64  << sudo 붙여서 재 실

-----
리눅스 명령어 cd, pwd, grep, la -al, which
----

$ cd
$ pwd
$ ls -la   << -la 대신 -al도 가능

$ vi .bash_profile  << bash_profile VIM을 통해 수정
( bash_profile : 새로운 환경 변수 추가)

----
vi 명령어 i, shift+:+q, shift+:+wq, esc 
----

$ which java << "java"가 어디에 있는지 찾는 명령어
$ cd /usr/bin
$ pwd   << 폴더 이동시 습관적으로 위치 확인하자!@!!
$ ll java

/etc/alternatives/java << 경로 복사

$ cd
$ cd /etc/alternatives/ << 경로 이동

$ ll java
/usr/lib/jvm/java-11-amazon-corretto.x86_64/bin/java <<

$ vi ~/.bash_profile   << 경로 상관없이 bash_profile vi 편집기로 열기

fi 밑에 추가(i) 저장하고 나가기(:wq)
JAVA_HOME=/usr/lib/jvm/java-11-amazon-corretto.x86_64/
export path=$path:$JAVA_HOME/bin/

$ source ~/.bash_profile << 변경 사항 적용하기
$ cd
$ java -version  << java version 확

-----------------
아마존에서 지원하는 자바 설치 하고 환경 변수까지 설정

$ vi ~/.bashrc  << 해당 폴더에서 /etc/bashrc 경로 찾아
$ vi /etc/bashrc
   \/profile.d << 검색 \/ , 복사 후 빠져 나가기
$ cd
$ cd /etc/profile.d
$ ll -al 
	- profile.d : Linux와 Unix 시스템에서 셸 초기화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위치

 

2. Tomcat 설정
- https://tomcat.apache.org/download-90.cgi 홈페이지에서 Core : tar.gz 링크 주소 복사

$ cd
$ mkdir dev << dev 폴더 생성
$ cd dev
$ pwd << 경로 확인
$ wget https://dlcdn.apache.org/tomcat/tomcat-9/v9.0.89/bin/apache-tomcat-9.0.89.tar.gz
		wget : Linux, Unix 시스템에서 웹 서버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줄 도구
$ ll < 파일 확인
$ gzip -d apache-tomcat-9.0.89.tar.gz  << gzip 압축해제
$ tar -xf apache-tomcat-9.0.89.tar     << tar 압축해제
   리눅스는 대부분 이렇고 2번 압축된 것을 해제한 상황 
   >>> tar로 gzip과 tar를 한꺼번에 풀려면 아래 명령어에 "z" 추가
   > $ tar -zxf apache-tomcat-9.0.89.tar.gz
$ cd apache-tomcat-9.0.89
$ cd bin
$ cd ll << bin 폴더에서 catalina 있는지 확인
$ ./catalina.sh
$ ./catalina.sh start << start
$ netstat -tnl
$ sudo netstat -tnlp << 프로세스를 확인 하려면 무조건 sudo권한으로 해야한다.
gzip 명령어
  • c: 새로운 아카이브를 생성 (create)
  • x: 아카이브를 추출 (extract)
  • f: 파일 이름을 지정 (file)
  • z: gzip으로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 (gzip)
  • j: bzip2로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 (bzip2)
  • v: 진행 상황을 표시 (verbose)
  • C: 디렉토리 변경 (change directory)
tar 명령어
  • c: 새로운 아카이브를 생성 (create)
  • x: 아카이브를 추출 (extract)
  • f: 파일 이름을 지정 (file)
  • z: gzip으로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 (gzip)
  • j: bzip2로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 (bzip2)
  • v: 진행 상황을 표시 (verbose)
  • C: 디렉토리 변경 (change directory)

 

톰캣이 실행 되는지 확인

  • 인스턴스 → 인턴스 ID 클릭 → 보안 → 보안 그룹 → sg-############(launch-wizard-1) 클릭
  • 인바운드 규칙 편집 클릭
  • tomcat 실행을 위한 포트 규칙 저장( 소스 설정 값: 0.0.0.0/0 인 이유는 아무나 접속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설정)
  • 접속 가능한지 확인 방법은 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 DNS 복사해서 인터넷 창으로 접속 주의 : 끝에 포트 붙이기
      1.  

 

톰캣 중지

$ ./catalina.sh stop
    1.  

 

톰캣 명령어를 ALIAS로 설정

$ cd
$ vi .bashrc

>> 특정 이름으로 검색 명령어
>> $ find -name '이름'
fi 밑에 추가
alias tomcat="/home/ec2-user/dev/apache-tomcat-9.0.89/bin/catalina.sh"

$ source .bashrc

alias 사용 
$ tomcat start
$ tomcat stop